-
[AWS] AWS 개념공부/AWS 2023. 12. 18. 16:49
AWS(Amazon Web Service)
전자상거래 사이트를 운영하는 아마존닷컴의 자회사인 아마존 웹 서비스사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
인프라 스트럭처
- 애플리케이션,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환경
AWS 장점 및 혜택
- 자본 비용 -> 가변 비용
- 속도, 민첩성 개선
- 규모의 경제로 얻게되는 이점
- 데이터 센터 운영, 유지 관리 비용 투자 불필요
- 용량 추정 불필요
- 몇 분 만에 전세계 배포 가능
인스턴스와 서버
- 인스턴스란 실체라는 의미이며, 실제 가동되고 있는 가상화 컴퓨터를 칭함
클라우드(Cloud, 클라우드 컴퓨팅)
-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와 같은 컴퓨터 리소스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
- 즉, 서버는 숨기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컴퓨터 리소스를 제공함
장점
- 고정비용 변동 비용, 규모의 경제, 성장을 고려한 용량 예측 불필요
- 검증 및 개발 기간 단축, 데이터 센터 유지보수 불필요
- 글로벌 전개 가능
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
- 서버 및 네트어크를 포함하는 인프라 스트럭처(구축, 운영 환경) 부분을 클라우드로부터 임대
PaaS(Platform as a Service)
- 서비스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플랫폼(Web, Server, DB 등)을 클라우드로부터 임대
SaaS(Software as a Service)
- 제공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, 이용자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만 지불
IaaS PaaS SaaS 서버 기본 세팅 필요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 운용환경 고려 바로 사용 가능 서버 관리 지식 필요 서버관리 지식 필요 특별한 지식 필요 X 필요 애플리케이션 별도로 준비 필요 어플리케이션 별도로 준비 단말기 외에는 따로 필요 X 자유도가 높음 자유도가 비교적 높음 자유도가 낮음
온프레미스(On-Premise)
- 자체 공간에 서버, 네트워크 등을 직접 구축하고 운영
퍼블릭 클라우드(Public Cloud)
-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
- MS의 Azure, Google의 GCP, Amazon의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물리서버나 가상 머신을 제공 받음
프라이빗 클라우드(Private Cloud)
-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(AWS, Azure, GCP)에서 가상머신을 대여할 경우
- 서로 다른 기업(기업A와 기업B)이 같이 사용할 수 있고 A라는 고객의 많은 양의 작업때문에 B에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.
- 이러한 경우 기업 B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을 해줌
하이브리드 클라우드(Hybrid Cloud)
- On-Premise + Public Cloud / Private + Public Cloud
- On-Premise 환경에서도 Public과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
솔루션(Solution)
- AWS 서비스를 이용해 구축가능한 IT 시스템의 종류를 정의
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(Enterprise application)
- 서버, 데이터베이스, 네트워크 장비등을 조합해서 만든 하나의 대규모 시스템
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(Serverless application)
- 애플리케이션을 움직이는 인프라 스트럭처를 AWS 기능으로 모두 관리
- 서버의 안정된 가동, 갑작스러운 부하에 대한 성능향상 등이 자동으로 수행
AI와 머신러닝
- 대량의 데이터를 고성능 서버로 분석,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 제작
기타 제공 솔루션
분석, 데이터 레이크
- 인프라 스트럭처 관리에 따른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분석하는 환경 제공
IOT
- 센서 등 작은 기기를 사용한 시스템 제공
스토리지
-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저장소 제공
게임 개발
- 게임 개발부터 운용까지 전체 셋을 지원
'공부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계정 만들기 (0) 2023.12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