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네트워크] 데이터 전송공부/네트워크 2023. 10. 6. 01:13
흐름 제어
- 송신 호스트는 수신 호스트가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전송 속도를 유지하면서
-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해야 하는데, 이러한 기능을 말한다
- 흐름 제어는 송신 호스트가 수신 호스트보다 아주 빨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필요
프레임 구조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처리
- 일반적으로 프레임은 내부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문자 프레임과 비트 프레임으로 구분
문자 프레임
- ASCII 코드를 기반으로 구성
- 문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
- 8비트 단위로 동작
- 그림이나 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전송이 불가능
- 하나의 프레임 단위를 구분하기 위해 프레임의 앞뒤에 ASCII 코드의 특수 제어 문자를 이용
비트 프레임
- 그와 같은 제한을 받지 않음
문자 스터핑
- 문자 프레임 내부의 전송 데이터에 DLE 문자가 포함되면서 발생하는 혼란을 예방하는 방법
- 수신 호스트는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FRAME DATA에 DLE 문자가 연속해서 두 번 나타나면
- 두번째 DLE는 송신 호스트가 강제로 추가한 문자라고 판단할 수 있음
프레임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극복 방법
패리티비트
- 1바이트 구조에서 패리티 비트는 7비트의 ASCII
단점
- 짝수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검출할 수 없다.
블록 검사
- 패리티 방식을 이용한 오류 검출 기법은 1비트 오류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음
- 짝수 개의 비트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
- 연속된 2개의 문자에서 같은 위치의 2비트가 오류일 때는 오류를 검출할 수 없다.
다항 코드(CRC)
- CRC : 순환 중복 검사
'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데이터 링크 계층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MAC, LLC계층 (1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술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개념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 (1) 2023.10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