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개념공부/네트워크 2023. 10. 6. 00:57
계층적 모듈 구조
시스템 모듈화 장점
- 각 모듈이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
- 변경과 수정이 쉽다
- 시스템 모듈화를 하지않으면 한 부분이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 교체해야함
- 전체 시스템을 재작성하지 않고 해당 계층의 모듈만 교체
계층 구조
- 모듈들이 상하 계층 구조로 연결되어 동작
프로토콜 설계시 고려 사항
- 네트워크 호스트의 주소 표현 방법
- 데이터 전송 과정의 오류 제어
- 데이터 변형 오류(오류검사-패러티비트)
- 응답이 없음 : 재송신
- 데이터 분실 오류
- 타이머(타임아웃) : 재전송
- 통신 양단 사이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흐름 제어
- 호스트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흐름 제어 기능이 필요
데이터 전달 방식
전이중 방식
- 양쪽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
반이중 방식
- 데이터가 양방향으로 전송되지만, 특정 시점에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것
단방향 방식
- 데이터를 오른쪽이나 왼 쪽의 한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것
서비스 프리미티브
- 통신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계층간 서비스로의 동작
- 서비스 종류에는 연결형과 비연결형
OSI 7계층 모델
캡슐화
- 헤더를 붙이는 과정
역캡슐화
- 헤더를 때는 과정
헤더 정보
- 헤더 정보는 프로토콜마다 다르게 정의되며 주소, 오류 제어, 흐름 제어를 포함
물리 계층
- 주소 개념이 없다.
- 두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링크를 활성화하고
- 관리하는 전기적, 기계적, 절차적, 기능적 특성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0과 1로 구성된 비트열의 데이터(프레임)를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전송매체를 통하여 수신 측에 보낸다.
데이터 링크 계층
- 물리 계층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오류 해결, 흐름 제어
- 데이터 링크 계층을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
- 전송하려는 데이터에 전송되는 다음 노드의 물리주소(MAC 주소)가 더해짐 : 주소지정
네트워크 계층
-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통해 수신 호스트(IP주소)에 전달되는지 결정하는 라우팅 문제를 처리
-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를 조절하는 혼잡 제어 기능 담당
전송 계층
-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를 직접 연결하는 END TO END 통신 기능을 제공
-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→ 양단의 송수신 호스트간 신뢰성 있는 전송 기능
세션 계층
- 상위적 연결 개념인 세션 기능 제공
-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대화 제어, 일시적인 전송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동기 기능 제공
ARP
- IP 주소 → MAC 주소
RARP
- MAC 주소 → IP 주소
ICMP
- 데이터 전송 중 이상 발생시 송신측에 이상을 알리기 위해 사용
'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데이터 전송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술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 (1) 2023.10.06 [패킷트레이서/실습] VLAN 설정 및 이해 - 같은 VLAN 통신 (0) 2023.09.22 [네트워크] 보안용어사전 (0) 2023.09.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