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술공부/네트워크 2023. 10. 6. 01:06
라우팅 기능
전용회선과 교환 회선
- 전송 선로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용 회선을 이용하거나 교환 회선을 이용할 수 있음
- 전용 회선 방식 : 송수신 호스트 전용으로 할당된 통신 선로로 데이터 전송
- 교환 회선 방식 : 전송 선로 하나를 다수의 호스트가 공유, 아날로그 환경의 공중 전화망
라우팅 시스템
- 데이터는 노드에서 노드로 교환되면서 연결해 주는 적절한 경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수신측까지 전송
- 인터넷은 패킷 교환 시스템 사용
회선 교환
- 송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 설정 과정에서 경로를 미리 결정
- 연결형 서비스
- 하나의 연결에 대하여 모든 경로가 동일한 경로로 라우팅
- 라우팅 작업이 상대적 수월, 네트워크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
-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다른 연결에서 이 대역을 사용할 수 없음
- 통신 종료까지 독점 → 전송 대역 낭비
-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지 않음
회선 교환 장점
- 고정 대역의 논리적인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안정적인 속도로 고정적인 데이터 전송률 지원
회선 교환 단점
- 오류 제어 기능이 없다.
- 전송 대역 낭비
메시지 교환
- 회선 교환의 비효율적인 회선 이용을 개선시킨 데이터 통신 교환 방식
- → 데이터 전송 전 경로를 설정하지 않음 : 비연결 서비스
- 다음 노드로 가는 링크가 비어있으면 전송하는 방식
- 링크 동적으로 공유하여 전송
- 메시지 단위로 교환
- 패킷 단위로 분활하지 않음
메시지 교환 단점
- 대용량 저장 매체 요구, 처리 지연 문제
패킷 교환
- 회선 교환 방식과 메시지 교환 방식의 장점을 수용, 단점 최소화시킨 방식
-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(TCP/IP)에서 주로 이용
- 원칙적으로 송수신 호스트 사이의 연결이 존재하지 않음 :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
- 단, 회선 교환 방식과 유사하게 모든 패킷의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상 회선 방식 존재
-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대역을 따로 할당하지 않기 때문에 가변 크기의 전송률 지원
- 전송속도가 일정하지 않는 이유는 고정적인 전송 대역이 확보되지 않아서
패킷 교환 장점
- 전송 대역 효율적 이용
- 호스트 무제한 수용
- 패킷에 우선 순위 부여
패킷 교환 방식
- 가상 회선
- 미리 설정된 가상 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
- 회선 교환과 같은 연결형 서비스 지원. 단, 회선 교환은 패킷 기능 지원 X
- 패킷은 전송된 순서대로 수신측에 도착
- 정해진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, 다량의 데이터 연속으로 보내는 전송에 적합
- 데이터 그램
- 데이터 그램 :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각 패킷
- 패킷의 경로 선택이 독립적, 미리 경로 할당 X
- : 비연결형 서비스 지원
프레임 릴레이
- 현대, 신뢰도가 높은 네트워크 환경, 네트워크 물리적 전송 오류 발생할 확률 낮음
- → 복잡한 오류 제어 기능 제거하여 패킷 전송 속도 향상 : Frame Relay
- 데이터 링크 계층의 중복된 오류 복구나 흐름 제어 기능을 단순하게 설계
'공부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MAC, LLC계층 (1) 2023.10.06 [네트워크] 데이터 전송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개념 (0) 2023.10.06 [네트워크] 네트워크 기초 (1) 2023.10.06 [패킷트레이서/실습] VLAN 설정 및 이해 - 같은 VLAN 통신 (0) 2023.09.22